- Published on
앱이름을 한글로 쓰기
- Authors
- Name
- 불꽃남자
타이타늄 모바일 앱의 기본 언어셋은 영어다.
이 말은 즉 특별한 한글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영문으로 앱이름을 써야한다는 얘기도 되겠다.
그렇다면, 앱 이름은 어디서 설정하는 걸까?
먼저 tiapp.xml 파일을 뒤져보자. **
2.0.1.GA2
*com.miconblog.sampleapp
SampleApp
1.0
.... 이하 생략
대충 살펴보니 태그가 보인다
. 그리고 이 태그에 값을 설정하면 실제 빌드되어 만들어지는 앱의 이름으로 쓰인다는 사실도 쉽게 알수있다.
그럼 이 태그에 한글을 넣으면 될까? 아마 빌드해보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날것이다.
UnicodeDecodeError: 'utf8' codec can't decode byte 0xb5 in position 0: invalid start byte
그럼 도대체 어디에...???
국제화와 지역화 그리고 세계화
타이타늄 프로젝트 폴더를 보면, i18n이라는 폴더가 있다. 이 폴더가 없는 경우엔 Resouces 폴더와 동등 위치(최상위)에 만들어주면 된다. 여튼 이 폴더는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라는 단어를 줄여서 첫글자와 마지막 글자 그리고 그 사이의 글자가 18개를 의미하는 단어다. 즉, i18n 이라는 얘기는 국제화를 의미하고, 영어권에서는 통용되는 줄임말이다.
그럼 여기서 잠깐, l
10n은 뭘까? 이쯤되면 대충 지역화(localization)라는걸 유추해볼수있다. 그리고 g11n은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것쯤은 일단 상식으로 알아두자!
다시 돌아와서, 바로 이 i18n 폴더에 국제화와 관련된 언어셋들을 정리해두면, 타이타늄이 알아서 상황에 맞게 표시해준다.
그럼 만들어보자!
한글 언어 설정
먼저 i18n 폴더를 최상위에 만든다.
그리고 그 하위에 ko 폴더를 만든다.
그리고 그 안에 app.xml 파일을 만들자.
[](http://miconblog.com/wp/wp-content/uploads/2012/05/i18n_location.png)
app.xml 파일은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
한글이름
----
[summary]
if you want i18n
make i18n folder
make sub folder for language (ex. ko, en, etc...)
create app.xml file
write your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