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 Published on
    아파치 서버 한대를 이용해 여러 프로젝트나 서로다른 사이트를 구성하고자 할때, 가령 나처럼 개인블로그와 공식블로그 기타 웹사이트등등.. 자질구레하게 여러 사이트를 운영하게 될때, 아파치 디렉토리 설정이 중요하다. 특히, 상위 폴더에 디렉토리 설정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하위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생각없이 지정했다가 살짝 멍때린 기억이 있다. 정리해보자! 최상위 루트 폴더의 접근 제어 설정의 예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특정 하위 폴더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 <Directory /www/test>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FileInfo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Options 항목에 지정 가능한 설정 None 어떤 옵션도
  • Published on
    그동안 삽질의 삽질을 거듭한 끝에 가상호스트 설정에 성공했다. 유후~ :D 일단 기본으로 설치된 아파치를 활용하는 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맥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아파치 활용하기 이제부터 본격 vhost 설정을 시작해보자. 맥에는 기본으로 설정된 사이트 경로가 두개 있다. 먼저 'localhost' 로 설정되어 있는 루트 경로는 아래와 같고, /Library/WebServer/Documents 'localhost/~사용자이름' 으로 설정된 경로는 아래와 같다. /Users/사용자이름/Sites 그런데, 문제는 저 두 기본 경로말고 내가 원하는 경로에 가상 호스트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다. 가령, 이클립스 작업 경로 전체를 웹서버로 돌리고 싶은경우.. 경로는 아래와 같다고 가정해보자. /Users/사용자이름/Documents/workspace 그래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 가상 호스트 설정 파일을 열어서, /etc/apache2/extra/httpd-vhosts.conf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