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 Published on
    리눅스도 apt-get을 쓰느냐 yum을 쓰느냐에 따라서 지원하는 팩키지들이 조금씩 다른데 하물며 리눅스 서버에서만 놀다가 Mac에서 MySQL을 하려고하니 귀찮은게 한두가지가 아니다. 정리해보자. MySQL 설치 설치는 간단하다. MySQL 홈페이지에서 .dmg 파일을 받아서 깔면 된다. 그런데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 한 사람들은 그렇게 간단하진 않다! 일단 현재(2014.11월) MySQL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설치파일이 10.9 버전까지만 있다. 나도 살짝 당황했다. 어랍쇼? 10.10이 없네? 요세미티에선 안되는건가? 혹시나 싶어 10.9 버전을 받아서 설치했더니... 뚜둥! 설치오류" /> 그래서 나는 요세미티에선 MySQL 안깔린다! 라는 매우 성급한 결론을 내버렸다. 진짜 알깔리는건가? 설마~~ 그럴리가!! 그냥 10.8 버전 설치파일로 깔면 된다. ㅎㅎㅎ 뭐냐? -_-;;;; 이때 설치되는 경로는 아래와 같다. $> cd /usr/local $local> ls -al .
  • Published on
    앞으로 이사 만료일까지 4일 남았다. 4일안에 모든걸 해치워야한다.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잘 할수있을까? 일단 닷네임에서 AWS로도메인 이전하는건 보류.. 그냥 기존에 닷네임에서 카페24로 바라보던 DNS 서버를 다시 닷네임 자체 DNS로 변경후 A레코드만 추가하면 되는거였다. 이렇게 간단한걸 왜 싹다 AWS로 통일하려고 했을까? AWS가 그렇게 싸지도 않은데 말이지... 암튼 사설이 길었다. 각설하고,... Mac 에서 AWS로 파일 올리기 매우 간단하다. secure copy 라는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건 바로 콜론(:)!! 콜론을 빼먹으면 안된다. $> scp -i [aws-인증키.pem] [/로컬PC의 경로/파일명.zip] ec2-user@xxx.xxx.xxx.xxx:[올릴 파일명] 서버에서 AWS로 파일 옮기기 이것도 사실 매우 간단하다. 그냥 wget이나 curl을 응용하면 된다. $> wget '서버URL'
  • Published on
    그동안 삽질의 삽질을 거듭한 끝에 가상호스트 설정에 성공했다. 유후~ :D 일단 기본으로 설치된 아파치를 활용하는 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맥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아파치 활용하기 이제부터 본격 vhost 설정을 시작해보자. 맥에는 기본으로 설정된 사이트 경로가 두개 있다. 먼저 'localhost' 로 설정되어 있는 루트 경로는 아래와 같고, /Library/WebServer/Documents 'localhost/~사용자이름' 으로 설정된 경로는 아래와 같다. /Users/사용자이름/Sites 그런데, 문제는 저 두 기본 경로말고 내가 원하는 경로에 가상 호스트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다. 가령, 이클립스 작업 경로 전체를 웹서버로 돌리고 싶은경우.. 경로는 아래와 같다고 가정해보자. /Users/사용자이름/Documents/workspace 그래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 가상 호스트 설정 파일을 열어서, /etc/apache2/extra/httpd-vhosts.conf 다음과
  • Published on
    Mac OS X 에는 tiger 버전 부터 기본으로 설치된 Apache2가 있다. 현재 내가 쓰고 있는 Mac 버전은 스노우래퍼드고, apache2 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etc/apache2/ 아파치 서버 실행 방법 그리고 맥에 기본 설치된 아파치를 실행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이 시스템환경설정 > 공유 > 웹공유 를 체크하면 된다. 가상 호스트 설정 일반적인 가상 호스트 설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vhost-httpd.conf 라는 파일을 생성해, httpd.conf 에서 Include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기본으로 설치된 아파치 폴더에서 /etc/apache2/httpd.conf 파일을 열고, 맨아랫줄을 보면, 아래와 같이 주석처리가 되어있는 부분에서 주석(#)을 제거하자. #Include /private/etc/apache2/other/*.conf 그리고 other 폴더에 가보면, 맥은 참으로 친절하게 이미 vhost-httpd.conf 파일을 만들어놨다것을 알수있다
  • Published on
    며칠전에 아이폰을 지르고, 뒷수습을 하고 있는 중이다. 가장 문제가 되는게 기존 핸드폰에 저장된 연락처를 옮기는 일인데.. 아~ 이게 진짜 어뜩케 해야할까? 고민이 한두가지가 아니었다. 검색해보면, 아웃룩이나 구글등을 이용해서 연락처를 싱크하는 방법이 나와있긴한데.. 조금 귀찮아서 고민을 좀 하고 있던 차에.. 더 좋은 방법을 찾았다. 단, 지금부터 하는 얘기는 맥유저에만 해당한다. (ㅋㅋㅋ 역시 맥~~) 일단 기존 핸드폰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기존 핸드폰 홈피가서 핸폰에 있는 정보를 PC로 옮겨주는 데이터 싱크 프로그램등을 다운로드 받아야한다. 난 CYON 핸드폰을 썼기 때문에 CYON 홈페이지가서.. 데이터 싱크2 거시기 라는 프로그램을 받았다. 그리고, 간단히 내 주소록을 PC로 내보내기 하면 된다. 내보내기 할때는 csv 파일 형태로 내보내자!! 그리고, 맥에서 "주소록"을 열어서 내보낸 csv파일을 읽어들이자!! 그리고, 이제 아이폰을 연결하고 주소록을 싱크하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