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20

  • Published on
    세상한 참 많은 지식이 존재한다... 하루에 태어나는 생명만큼과 하루에 죽어가는 생명만큼많이 존재한다. 또 지식은 새로 태어나고,..다시 죽고,.. 태어나고를 반복한다. 그런게 반복되는 사이클 속에서 진리라는것도 탄생하게 된다.. 웹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지난 세기들의 역사를 많이 닮은듯하다. 엔트로피의 법칙이었떤가? 결국은 항상 좋은 방향 불완전성에서 완전성으로 전이되는것... 웹도 지금 그런 변혁기에 있다. 논문을 읽고 있다. 어제의 웹은 그냥 The Web 이라고 부르자... 그리고 현재의 웹은 두가지가 있다.. 시멘틱웹과 소셜소프트웨어... 시멘틱 웹은 바로 이지식이라는 것과 관계되며,.. 소셜소프트웨어는 사람이라는 것과 관계된다. 그리고 언젠가 저 둘의 합의점을 도출하게될 그 새로운 웹이 나타나게 될것이다. 지금 읽고 있는 논문에선...메타웹이라고 부른다. 메타웹... Meta 정보가 점점 더 중요해지기 시작한다. 현재 웹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깅.. Gartn
  • Published on
    모든 개발자가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아무래도 먼가를 기획해서 추진하는 사람 입장에선.. 흔히 빠지는 오류중에 하나가 무아지경인거 같다..하나에 푹 빠져버리면.. 모든것을 그것과 연관시켜 생각하는 버릇..보다 깊이 보다 전문적으로 알게 되는것도 있지만...실제 사용자 입장에선 오히려 거추장스럽고 어려워질수도 있다. 때론, 쉬운 길도 돌아서 가보려고 하는 탐구 정신...하지만 끈임없이 생각하고 생각하고,.. 생각하려고 한다.내가 오류에 빠져 있지 않나? 하고 말이다. 얼마전에 델리셔스가 야후에 합병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web2.0 업계가 인수합병 바람이 부는거 같다.. 아니 이미 불고 있었떤 거겠지..난 이제서야 그것을 본거고... 이미 인터넷 저 밑바닥에서는 많은 칼부림의 경쟁들이 오가고 있겠지.. 이미 인터넷 서비스는 블로오션이 아닌 피튀기는 레드오션인것이다. 벌써 유명세를 한번 탄 벤쳐기업들은 모두 사라지고,...그 자리에 구글이니. 야후니.. 네이버니.. 싸이월드니.. 다움
  • Published on
    1. 컨텐츠 인기도 (절대적 값으로 계산해야할듯..) 컨텐츠 A에 대한 인기도 C.P(A) = 다운로드횟수 + (스크랩횟수*2) + Ch.p(부모 채널인기도) 2. 채널랭킹 (절대적 수치가 아닌 상대적 수치로 고려해야함..) - 고려사항 : 다운로드율, 스크랩율, 구독률 등등.. - 추가사항 : 채널의 인기도는 결국 회원 각각의 Attention을 얼마나 얻느냐가 아닌가?..즉, 채널의 인기도 = (주목의 합 / 전체회원수) * 100 으로 계산해야할꺼 같은데.... 여기서 전체 회원수는 등록된 사용자만을 고려..그리고 주목의 합을 어떻게 계산하느냐가 관건... 각 개인의 주목의 합을 1 이라는 확률적 값으로 고려... 각 개인의 주목의 값에 영향을주는 Fact 들은 뭐가 있을까?....내가 어떤것에 관심을 갖는다는것은.. 그채널을 등록하거나 컨텐츠를 스크랩 또는 다운로드라는 것으로 환산할수 있지 않을까? 즉, 채널을 등록한다는것은 내가 그 채널에 내 관심을 얼마만큼 소비하는것이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