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Published on
    이 부분을 번역할까 말까 한참을 고민했다. 대략 A4 한장 분량의 번역작업이 대충 2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머이리 오래 걸려? 라고 묻는자에게 말하고 싶다.. 당신이 해봐~!! -_-내가 알고 번역하는 것과,.. 모르고 번역한 것은 천지 차이다. 주위에 한글 번역서만 봐도 이건 금방 안다. 대부분이 아마도 원문을 보라고 권할 것이다.나도 그렇다. 내가 모 취미반 공부반으로 번역은 하고 있지만, 원문을 꼭 다시 볼것을 권하는 바이다. 분명 이렇게 이야기 해도 안보는 사람들을 위해, 최대한 메끄럽게 번역할려고 노력중이다.왜냐면, 나도 나름 영문꽈 학위 받은 남자기 때문에.. ㅋㅋㅋ작년말에, 영한번역 수업을 들어놓은게 참 많이 도움이 되는거 같다.. 여튼 각설하고,.. 시작해보자!!원문 번역: http://www.jibbering.com/faq/faq_notes/closures.html A4 용지로 출력하면, 15페이지중에 7번째 페이지가 되겠다!!자동으로 일어나는 가비지 콜렉션ECMA
  • Published on
    Resolution 이란 단어를 어떻게 해석해야할찌 한참을 고민했다. 결국은 동일한 식별자 이름들이 있을때, 이것을 어떻게 판별해서 가져오는가 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대충 Resolution 이 그런 의미로 쓰였음을 알고 다음으로 넘어가자.원문 : http://www.jibbering.com/faq/faq_notes/closures.html원문을 A4 용지로 출력하면, 6페이지 마지막 단락에 있는 내용이다.식별자는 스코프 체인을 통해서 판별된다. ECMA 262 는 this 라는 키워드 대신에 식별자로 목록화를 한다. 이것이 그렇게 불합리한 이야기는 아니다. 왜냐면, 실행문맥 안에서 스코프 체인을 참조하는 참조자가 없을때만 식별자는 this 값에 의해 결정되어 지기 때문이다. 식별자는 스코프 체인 안에 있는 첫번째 객체부터 찾기 시작한다. 그 첫번째 객체의 프로퍼티들의 이름과 찾고자 하는 식별자가 같은 이름인가를 확인한다. 이 스코프 체인은 만약에 객체가 프로퍼티 체인을 가지고 있다면
  • Published on
    아래 포스팅과 이어서 이번에는 Scope chains 과 [[scope]] 프로퍼티에 대해서 제대로 한번 알아보자.원문 출처: http://www.jibbering.com/faq/faq_notes/closures.html함수 호출을 위한 실행 문맥과 스코프 체인은 함수 객체의 [[scope]] 프로퍼티에 정의된 실행 문맥의 Activation/Variable 객체를 스코프의 맨 앞쪽에 더함으로써 생성되어진다. 그래서, 내부적으로 [[scope]] 프로퍼티가 어떻게 정의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ECMAScrpt 에서 함수(function)은 객체다. 그리고 이런 객체들은 변수 인스턴스화 과정을 거치면서 함수 선언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함수표현식을 평가할때, 혹은 함수 생성자에 의해서 invoking 을 수행할때 만들어진다.Function 생성자와 함께 생성되는 함수(Function) 객체는 항상 전역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스코프 체인(scope chain)을 가르키는 [[sc
  • Published on
    원문 출처 : http://www.jibbering.com/faq/faq_notes/closures.html평소에 일반적인 C,C++,Java,C# 이딴 언어를 주로 사용하다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를 조금만 하다보면, 금방 궁금증이 늘어난다.과연.. 요놈들은 왜? 이렇게 작동하는걸까? 라는 좀 원초적인 질문이다.어제 오늘 클로저라는 놈을 제대로 이해하기위해, 각종 아티클들을 찾아보다가..괜찮은 아티클을 발견하고, 지금 번역은 아니고.. 그냥 해석해서 이해하는 중이다.사실 클로저라는 놈을 이해하기위해선, 자바스크립트 내부적으로 작동하는 매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이름하야, Indentifier Resolution, Execution Contexts, Scope Chains, Property Chain 같은 용어와 내부 매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는 얘기다.오늘은 그중에서 실행문맥(Execution Contexts)에 대해서 정리해보자.위에 원문을 A4로 출력하면, 대략 4
  • Published on
    오늘은 Microtime 에 대해서 이야기 해봐야겠당. 사실 나도 정확히 요놈에 대해 알지 못한다. 그런데 오늘 이놈 때문에 삽질을 한게 있어서 적고 넘어간다. 사실 내가 하고 싶었던건, zeroboard에서 reg_date로 들어가 있는 날짜를 jsp에서 불러와 출력하고 싶었다. 내가 검색 능력이 딸려서 못찾은건지, php에서는 기본 함수로 있는데.. jsp에서는 microtime을 현재 시간으로 변환해주는 메소드를 찾지 못했다. 여기저기 Q/A를 뒤져봤지만.. 못찾았다.. 그래서 그냥 나몰라라 접어두고 있었는데.. 오늘 마침 TDD(테스트 주도개발) 연습을 하면서 날짜를 컨트롤하는 예제를 뚝딱뚝딱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왕 하는 김에 DateTime 클래스를 java로 구현해봤다. 이놈의 역할은 간단하다. microtime 을 인자로 받아서 현재시간으로 출력해주기위한 클래스다. 이것을 구현하기 위해 microtime을 다시 찾아봤다. 검색 결과에 의하면, microtime은 10